주식/주식 기초

[주식 기초] 관리종목(국내)

ivvinvestor 2023. 6. 4. 23:37
반응형

주식 거래를 하다보면 관리종목이라는 용어를 한번쯤은 들어보신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관리종목에 대한 용어에 대해 설명하려 합니다.

<관리종목 예시>

1. 관리 종목

   유동성 부족, 재무제표의 미비, 영업실적의 악화 등의 이유로 상장폐지의

   가능성이 있는 종목을 관리종목이라 합니다.

   관리종목에 지정되면 주식의 미수 및 신용거래가 금지됩니다.

 

2. 관리종목의 조건   

   1) 코스피(유가증권시장)의 관리종목 조건

      - 정기보고서 미제출

         ▶ 법정제출기한(사업년도 경과 후 90일) 내 사업보고서 미제출

          법정제출기한(분 반기 경과 후 45일 이내) 내 반기, 분기 보고서 미제출

 

      - 감사인 의견 미달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이 감사범위제한 한정인 경우(연결감사보고서 포함)

        반기 검토보고서상 검토의견이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인 경우

 

      - 자본잠식

          최근 사업연도 말 자본금의 50% 이상 잠식

               ※ 자본잠식률 = (자본금 - 자본총계)/자본금

 

      - 주식분포현황

        최근사업연도 사업보고서상 일반주주수 200명 미만

        최근사업연도 사업보고서상 일반주주 지분율 5% 미만

               ※ 200만주 이상인 경우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

 

      - 거래량

        반기 월 평균 거래량이 반기말 현재 유동주식수의 1% 미만

 

      - 지배구조

        사외이사수가 이사 총수의 1/4 미만

              ※ 자산총액 2조원 이상 법인의 경우 사외이사 3인이상, 이사 총수의 과반수 미충족

        감사위원회 미설치 또는 사외이사수가 감사 위원의 2/3미만

              ※ 자산총액 2조원이상 법인만

 

      - 공시의무 위반

        최근 1년간 공시의무 위반 누계벌점 15점 이상

 

      - 시가총액

        ▶ 시총 50억원 미달 30일간 지속 

 

      - 회생절차

        회생절차 개시신청

  

      - 파산신청

 

   2) 코스닥의 관리종목 조건 

      - 매출액

        최근 사업연도 30억원 미만

              ※ 지주회사는 연결 기준

 

      - 회계법인 감사의견 및 검토의견

        자기자본 50% 초과의 법인세비용차감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이상

 

      - 자본 잠식

        최근 사업연도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 자기자본 미달

        최근 사업연도 말 자기 자본 10억원 미만

 

      - 감사의견

 

      - 시가총액

        시가총액이 40억원 미만인 상태가 연속 30일 지속

 

      - 정기보고서 미제출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를 법정제출기한내 미제출

 

      - 거래량

          분기 월평균 거래량이 유동주식 수의 1% 미달

               ※ 월간 거래량 1만주, 소액주주 300인 이상이 20% 이상 지분 보유등은 적용 배제

(출처 한국거래소 : https://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10500/LST04010500.jsp)

      - 지분분산

        최근 사업연도 말 기준 소액주주 200인 미만 또는 소액 주주의 지분이 20% 미만

                ※ 300인 이상의 소액주주가 유동 주식수의 10%이상으로서 100만주 이상 소유하는 경우 제외

 

      - 지배구조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요건 미충족

 

       - 회생절차/파산신청

         ▶ 회생절차 개시 신청 또는 파산신청

 

       - 재무관리 위반

        변경, 추가 상장이 유예된 기간 중에[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재무관리 기준을 위반한 경우

 

       - 기타 상장폐지 사유

        모든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경우 관리 종목으로 지정 

(출처 한국거래소: https://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20500/LST04020500.js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