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어플에서 ETF를 검색해 보면 많은 ETF가 보입니다.
그중에는 서로 이름이 비슷한 ETF도 있던데 ETF의 종목명에 있는 규칙에 대해 알아봅시다.
예시로 뽑은 ETF의 종목명입니다.
1. 운용사
①번 항목에서 나타내는 것은 이 ETF를 발행한 운용사가 어디인지를 나타내 줍니다.
몇 가지 예시를 들자면
운용사 | |
KODEX | 삼성자산운용 |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
KBSTAR | 케이비자산운용 |
ARIRANG | 한화자산운용 |
ACE | 한국투자신탁운용 |
KOSEF | 키움투자신탁운용 |
SOL | 신한자산운용 |
파워 | 교보악사자산운용 |
HANARO | 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 |
KTOP | 하나USB자산운용 |
WOORI | 우리자산운용 |
TIMEFOLIO | 타임폴리오자산운용 |
BNK | 비엔케이자산운용 |
히어로즈 | 키움투자자산운용 |
마이다스 | 마이다스에셋 |
UNICORN | 현대자산운용 |
마이티 | 디비자산운용 |
FOCUS | 브이아이자산운용 |
HK | 흥국자산운용 |
MASTER | 메리츠자산운용 |
343 | 대신자산운용 |
VITA |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
TREX | 유리에셋 |
이 있습니다.
2. 투자 대상
②번에 나온 200, 미국S&P500선물은 이 ETF가 어디에 투자할지를
나타내 줍니다.
200은 KOSPI 200지수에 투자하고 미국S&P500선물은 미국S&P500선물
에 투자합니다.
3. TR과 PR
③번 항목은 분배금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나타냅니다.
ETF에 투자를 하게 된다면 분배금이 나오는데 분배금 방법에 따라
PR(Price Return)과 TR(Total return)로 나뉩니다.
PR형은 투자 대상에서 나온 배당금을 ETF 투자자에게 분배금으로 나오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ETF명에 표기되지 않습니다.
TR형은 배당금을 다시 재 투자하는 방식의 ETF로 분배금이 나오지 않습니다.
분배금에는 15.4% 세금이 붙는데 재 투자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아낄 수 ㅇ있습니다.
4. 환헷지
④번 항목은 국내 주식을 기초로 하는 ETF가 아닌 해외자산에 주로 붙는 표기입니다.
환율 변동을 제거하여 자산의 가치를 좀 더 추종하도록 만든 ETF입니다.
환헷지를 하게 된다면 일반 ETF보다 수수료가 더 붙고 환율로 인한 손실을
막을 수 있지만 환율로 얻는 이득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ETF의 상품명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하려는 대상 하나에도 여러 방식 있으므로 본인의 입맛에 맞추어
투자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주식 > 주식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초] 우선권에 따른 주식 종류 (0) | 2023.02.14 |
---|---|
[주식 기초] 시가총액과 버핏 지수 (0) | 2023.02.12 |
[주식 기초] ETP(ETF, ETN) (0) | 2023.02.10 |
[주식 기초] 인덱스 펀드와 ETF (0) | 2023.02.10 |
[주식 기초] 기본적 분석 2편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