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업의 시가총액과 버핏 지수에 대해 설명하려 합니다.
1. 시가총액
1-1) 기업의 시가총액
기업의 가치를 시가로 타낸 용어입니다.
2-1) 주식시장 규모
주식시장의 규모는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의 합으로 판단합니다.
2. 버핏 지수
버핏 지수는 어떤 국가의 주식시장이 과열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주식투자자인 워런 버핏이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버핏 지수가 80~100% 사이의 증시가 적정하다고 판단하고 이보다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로 판단합니다.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계산식을 이용하여 현재 한국의 주식시장을 보겠습니다.
한국의 GPD는 2023.02.12기준 2,071조 6,580억 원입니다.
http://data.krx.co.kr/contents/MDC/MDI/mdiLoader/index.cmd?menuId=MDC0301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현재 코스피와 코스닥의 시가총액은 위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은 코스피 1,954,699,937(백만 원)이고
코스닥은 361,579,872(백만 원)이므로 합하면 약 2316조 2,798억 원입니다.
이를 버핏 지수로 계산하면 약 112%로 약간 거품이 있습니다.
다만 버핏 지수를 계산할 때 현재의 GDP를 알 수 없어 이전 분기의 GDP
와 비교한다는 점과 시가총액을 GDP(국내 총생산)와의 비교 때문에 해외 매출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시가총액과 버핏 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 중요 지표 중 하나이지만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지표도
함께 보면서 판단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주식 > 주식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초] 우선주에 붙는 알파벳과 숫자의 의미 (0) | 2023.02.15 |
---|---|
[주식 기초] 우선권에 따른 주식 종류 (0) | 2023.02.14 |
[주식 기초] ETF(한국 상장) 상품명 구조 (0) | 2023.02.11 |
[주식 기초] ETP(ETF, ETN) (0) | 2023.02.10 |
[주식 기초] 인덱스 펀드와 ETF (0) | 2023.02.10 |